관계대수
관계대수
- 릴레이션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수학의 대수와 같은 연산을 이용하여 질의하는 방법
관계대수 -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찾는지에 대한 처리 절차를 명시(절차적언어)
- select , 합집합, 교집합, division 이런거
관계해석 - 어떤 데이터를 찾는지만 명시하는 선언적인 단어(비절차적언어)
- or 연산, and 연산, not연산 등
도메인의 집합 (카티전 프로덕트) → (부분집합) 릴레이션 → 연산(관계대수,관계해석) → 결과
관계대수 연산자
관계대수식
- 릴레이션 간 연산을 통해 결과 릴레이션을 찾는 절차를 기술한 언어로, 이연산을 수행하기 위한 식을 관계대수식이라고함.
셀렉션 - R1에서 조건에 맞는 투플을 추출함
- 릴레이션의 투플을 추출하기 위한 연산.
- 찾고자 하는 조건을 명시하고 그 조건에 맞는 투플 반환
- σ<조건> (R)
- σ(가격<=8000 ∧ 도서번호 >=3) (도서)
프로젝션 - R2에서 조건에 맞는 속성만을 추출함
- 릴레이션의 속성을 추출하기 위한 연산
- π<속성리스트> (R)
합집합 - R1과 R2의 합집합
- 두개의 릴레이션을 합하여 하나의 릴레이션 반환, 이때 두개의 릴레이션은 서로 같은 속성 순서와 도메인을 가져야 함
- R ∪ S
교집합
- 합병 가능한 두 릴레이션을 대상으로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투플을 반환함
- R ∩ S
차집합 - R1과 R2 의 차집합
- 첫번째 릴레이션 에는 속하고 두 번째 릴레이션에는 속하지 않는 투플
조인 - R1과 R2를 카티전 프로덕트를 구해서 조건에 맞는 투플 추출
카티전 프로덕트
- 두 릴레이션을 연결시켜 하나로 합칠 때 사용
- 차수 : 두 릴레이션의 차수의 합
- 카디날리티 : 두 릴레이션의 카디날리티 곱
- 3개와 4개 카티전 프로덕트하면 카디날리티 12
숭실대학교 Database 강의를 수강 후 정리하였습니다.
'Databas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Database] SQL DML 데이터 조작어 (0) | 2023.02.03 |
---|---|
[Database] 조인 연산 (0) | 2023.02.03 |
[Database] 무결성 제약 조건 (0) | 2023.02.03 |
[Database] 관계 데이터 모델 (0) | 2023.02.03 |
[Database]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성 (0) | 2023.01.26 |